logo reload search
[성장금융브리핑] kgrowth.kr

※ 앱 다운로드(안드로이드) : 매일 아침 핵심뉴스를 보다 편리하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❶ 한국성장금융 및 출자기관 소식

o 한국벤처투자, 美 AMV와 1억달러 펀드 만든다

o 사학연금, 국내 PE 블라인드펀드 운용사에 IMM PE, 스틱인베스트먼트

❷ PE, VC 운용사 소식

o 기업銀, 中企대출 자산 150兆 돌파…'동반자 금융'으로 도약

o 기업금융 1위 위태로운 산은캐피탈

o 前 연기금 CIO의 의기투합, 코나아이파트너스 본격 출범

o 대교인베스트, 초기투자 확대 AUM 1000억 육박

o BSK인베, 200억 투자재원 확보 '재도약 발판'

o ‘코리아 VC 어워즈 2018’, 민간이 주도하는 한국벤처의 도전

o [PEF의 밸류업 사례탐구] 1. IMM PE의 한독 투자

o [PEF의 밸류업 사례탐구] 2. 특수상황 투자의 명가, 스틱인베스트먼트

❸ 벤처, 중소기업 소식

o [디캠프X성장금융 EP#2] 성공하는 창업기업의 조건은?

o [쫄지말고 투자하라! 시즌 7] #4회(통산 293회) 수퍼빈 김정빈 대표 - 1부

o 고용 올인, ‘기술 중심 산업재편’이 답이다

o IBK투자증권, 코넥스협회와 일자리 창출 위한 MOU

o 실적 부진이 규제 탓? 불신·혁신부재 ‘제 발등 찍었다’

o 국내 주요 스타트업 투자 유치, 순풍에 돛 달고 ‘순항’

o '슬러시'를 세계 최대 스타트업 축제로 키운 핀란드 청년들

o 레모넥스, 유상증자로 115억원 투자 유치

o 신약개발 '닥터노아바이오텍' 15억 투자유치

o 트레이닝 스타트업 '짐티', 누적 투자 유치 금액 20억원 달성

o 삼양사, KTB PE서 JB금융 지분 3.49% 인수

❹ 정책브리핑 및 기타소식

o 신보의 변신…"강소기업 먼저 발굴해 육성"

o 충청과 호남이 손잡고 투자IR 개최

o 정부·공기업 매칭 중소기업 기술개발투자 100억원 추가 조성

[팩트파인더 경제] factfinder.co.kr

@ '경기 비관론' 금융시장으로 확산...장·단기 채권금리差 10년래 최소 → 경기하강 불안심리 팽배

↳ 불황 우려에 장기 채권 금리 급락...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좁혀져, 코스피 외국인 매도에 32P ↓ (한경 1면 등)

↳ 이 추세면 내년 1~2월께 장·단기 금리 역전 가능성...반도체 수출마저 둔화 조짐에 실물경제 침체 가속 우려

☞ 한국 경제의 가장 위험한 뇌관 자영업자 부실 : 자영업자의 소득 대비 부채 비율 지난해 말 기준 189%

↳ 생계형 자영업이 경기 변동에 민감하다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대출(200조원 육박)이 금리 상승기에 가장 취약한 고리

▲ 작년 숙박업·음식업은 1000원 팔때 20원 손해 : 업체수 늘어 출혈경쟁 심각, 올 최저임금 반영땐 더 악화

▲ 소상공인연합회 "최저임금 인상 실태 충격적...무서워서 발표 못하고 있다. 그래도 연내 공개"

☞ 정권은 경제로 기억된다 : 정치 아닌 민생이 정권 평가 좌우, 숫자에 담기지 않은 경제고통 심각, 선거없는 내년이 '마지막 골든타임'(한경 35면)

▲ 친노동 정책에 주력하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전국에 노조 설립 급증 : 경영악화에 인건비 폭탄·해외 자본 투자 위축 우려(서경 1면)

↳ 전문직·IT 신산업까지 전방위 확산 : 택배노조 승인에 대리기사·가맹점주도 속속 추진, 양대 노총 '조합원 200만명' 전망

▲ 'J노믹스 설계자'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사의 표명 : 최저임금 등 공개적으로 쓴소리...靑 "5월부터 사의표명...수용될 듯"

▲ 이낙연 총리 "소득분배 악화 뼈아파...노조 불법에 눈감으면 안돼" : 최저임금·근로시간 단축 등 '친노동 정책' 보완 필요성 시사

▲ 김수현 정책실장, 장관 보좌관들 대상 강의 "정책 두번째 큰줄기 잡아야 할 시점" : '포용국가 3개년 계획' 시발점(동아 8면)

[주요 이슈]

※ 화웨이 창업주 딸 멍완저우(CFO) 캐나다서 체포 : 미국 요청으로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아시아증시 급락

☞ 미중 정상회담 '무역전쟁 90일 휴전 합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대형 악재' 돌출 → 중국 '기술굴기' 상징 정조준

↳ 중국 기술굴기를 견제하겠다는 의지를 대외적으로 분명히 하며 미중 무역전쟁이 통신 분야로 급격히 이동하는 모양새

※ `광주형 일자리` 무산 위기 △일자리·지역유치만 집착 △광주시, 밀어붙이기 협상 △지역노동계 반발·번복 계속 △車 공급과잉인데 공장 더 짓는 것도 무리수

▲ 여야, 광주형 일자리 예산안서 '광주' 명시 안해...민주당 "설득 불가능한 민노총 빼고 강행 검토" : 한국당 "민노총 반사회적 선전포고"

※ 자산 2조 넘는 대기업 내년 감사시간 2배로 : 표준감사시간제 가이드라인 `외부감사법인 전면도입`서 완화 (매경 1면)

※ 삼성전자 158명 임원 승진...인사 폭 30% 줄여 '조직 안정' : 김기남 반도체부문장 부회장으로 노태문 IM부분 개발실장 사장 승진

↳ 이서현 경영 일선 퇴진...복지재단·미술관 맡는다 : "물산 패션부문 매각 수순" "오빠에게 힘 실어주는 조치" 설왕설래

▲ 삼성전자, 첫 900억弗(약100조800억) 수출탑 영예 : 오늘 무역의 날 기념식서 수상, 올해 수출 첫 6000억불 넘을듯

※ SK '세대교체' 임원 승진 인사 : 새 임원 112명 평균나이 48세 하이닉스 사장에 이석희 사업총괄, 건설사장에 안재현 글로벌비즈 대표

※ 카카오카풀 시작 1시간前 국회서 막혔다 : 석달전 서비스준비 마쳤지만 택시업계 입장 고려한 여당이 `내년 시행` 압박하자 전격 보류

▲ 구글 자율주행택시, 애리조나서 첫 상용화...5km에 8500원 : 피닉스시 주변 160km 반경, 400명에 제한된 고객에게 서비스

↳ 구글 '드론 배송' 내년 핀란드서 개시 : 유럽최초...최장 9.9km 까지 배달, 음식·생필품 등 시범 서비스

※ 영종도, 한국판 라스베이거스로 2.8조 투자해 5성호텔·테마파크 : 인스파이어 리조트 내년 착공, 호텔·카지노 등 2022년 오픈

※ 조양호 '면허대여 약국' 부당이득 1000억 환수 착수 : 조 회장 명의 부동산은 이미 가압류

★ 성장금융 뉴스 브리핑 → PE·VC 운용사, 벤처·중소기업 뉴스 등

[경제 동향]

① 코스피 2,068.69(▼ 32.62) ② 코스닥 678.38(▼ 22.74) ③ 환율 1,119.00원(▲ 5.50) ④ 유가 61.04(▲ 0.53) ⑤금시세 44,451.71원(▲ 215.03)

▲ 블랙록(글로벌 1위 자산운용사), 대우조선 지분 5.57% 매입 : 2000억 규모, 경영권 참여 아닌 단순 투자...LNG선 경쟁력 높이 평가한듯

o 위기의 한국게임...상장사 35곳 중 18곳이 3분기에 적자 : 신작 적고, 외국게임 밀려오고, 주52시간에 묶여 '3중고'(조선 2면)

o 한국GM 법인분리 물밑협상...7조 들어간 '기술권' 귀속 쟁점 : 한국GM 5일 "분할 추진 잠정중단" 본사 사장 방한해 산은·정치권 접촉

o 건설사 톱5 기업중 4곳 구조조정 : 올 수주 실적 작년보다 14% 급감, 잇따라 희망퇴직·유급휴직나서

o 카드 모집인 40%까지 감원...현대카드, 직원 400여명 감축 검토 : 수수료 인하로 당장 비용절감해야...모집인이 첫 희생양

o 프랑스 유류세 인상 전면 철회...마크롱 '노란조끼'에 두손 : 성명 통해 예산안서 제외 밝혔지만 마크롱 퇴진 요구 목소리는 여전

[정부 정책]

※ 마석~송도간 GTX B노선·광교~호매실 신분당선 연장·인천 계양~김포 고속도 신설...예비타당성조사 없이 조기 착공 : 정부, 연내 광역교통대책 발표(국민 1면)

※ 원자력단체 '탈원전 반대' 서명운동 벌인다 : 대만 사례 통해 여론 주도나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해야"

▲ "원전 멸종위기...중국 빼면 발전량 3년째 감소"(마이클 슈나이더) vs "31개국 중 축소·폐지 4개국 뿐"(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o 서울 아파트 재건축 안전진단 신청 '0' : 3월 기준 강화후 줄줄이 표류, 집주인들 "통과 안시켜줄 것 뻔한데..."(동아 2면)

▲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0.03% 하락, 성북 등 서울 강북권도 하락 확산 : 호가 떨어지지만 거래 실종, 신도시 후보 공개가 변곡점

↳ 경기도 신도시 후보지 중심 매매 활발, 11월 서울 지역 그린벨트 거래면적 30% 늘어...지분거래 비중 각각 80%·78%, 기획부동산도 기승

★[앱]다운로드(안드로이드) : '뉴스브리핑' 편하게 받아보기

Loading...

Copyright ⓒ www.kgrowth.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