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reload search
[성장금융브리핑] kgrowth.kr

※ 앱 다운로드(안드로이드) : 매일 아침 핵심뉴스를 보다 편리하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❶ 한국성장금융 및 출자기관 소식

o 【선정결과】 『사회 투자 펀드(2차)』 소셜임팩트투자(매칭부문) 위탁운용사 선정 결과

o 【선정공고】 2018년 은행권 일자리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계획 공고

o 벤처투자로 일자리 창출 지원...금융권, 일자리펀드에 3000억원 이상 투입

o 국내 첫 민간 주도형 '유니콘 육성 펀드' 나온다

❷ PE, VC 운용사 소식

o [벤처금융으로 혁신성장을③]발굴에서 성장까지…생애주기 전방위 지원

o 신기사 '킹고투자파트너스', 100억 마수걸이 펀드 결성

o '바이아웃 명가' UTC인베, PEF 시장 첫 진출

o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 “꼰대 안 되는 게 목표죠”

o 하나벤처스 사장 김동환 "스타트업 장기 파트너 되겠다”

o CS베어링 IPO 추진에 FI 자금회수 '눈앞'

o KB證, 2403억 세컨더리펀드 조성…제2의 BTS찾나

o PE 거래비중 절반 넘어…도시바·ADT캡스 딜 시장 견인

o KB증권·스톤브릿지 2400억원 규모 세컨더리펀드 결성

o 무궁화신탁, 현대자산운용 인수 본격화

❸ 벤처, 중소기업 소식

o [디캠프X성장금융 EP#4] 일회용 렌즈 포장기술의 혁신

o [쫄지말고 투자하라! 시즌 7] #9회(통산 298회) 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 & KEB하나은행 1Q Lab 박승배 실장 - 1부

o 중기연, "혁신산업 선도한 이스라엘 사례 보고배워야"

o 자산가들은 글로벌 유니콘 기업에 투자한다는데 DJI, 그랩 등 주목… 자금 회수 길어질 수도

o 판교 가서 마음껏 창업하라…스타트업이 비빌 언덕 있다

o 성실한 실패 용납 덕분에…이스라엘은 스타트업의 '왕국'

❹ 정책브리핑 및 기타소식

o 최종구 금융위원장 "금융이 경제활력 뒷받침"

o ‘규제 강국’에서 벤처 창업 활성화는 불가능하다

[팩트파인더 경제] factfinder.co.kr

@ 국민은 먹고 살기 힘든데 '배부른 파업'하는 국민은행 노조

- 8일 총파업 위해 오늘 잠실체육관에 1만명 소집령 → 허인 행장 직접 교섭 제안도 거부, 성과급 규모 등서 노사합의 불발

☞ 평균 연봉 9100만원 받는 노조...손쉬운 이자 장사로 수익내고, 성과급 잔치를 벌이겠다는 것

- 합법이라지만 높아진 금리로 부채 상환 부담이 커진 소상공인 등 서민들은 안중에도 없는 행태라는 비판도

☞ 인터넷전문은행과 핀테크 등 경쟁자에 대한 규제를 과감히 풀지 않으면 은행 노조의 ‘배부른 파업’ 타령은 반복될 것

- 핀테크 선두 카카오와 양강 체제 구축하려는 네이버 : 자회사 라인플러스, 증권사 인수 추진 → 카카오의 '바른투자증권 인수'에 위기감

- 세력 키우는 노조...한노총 조합원 100만 돌파(작년 포스코-홈플러스 등 새로 가입) 민노총도 넷슨-카카오 참여 90만명

■ 오늘의 이슈

○ 파월 연준 의장 "통화정책 바꿀 준비" → '매파 본색' 버리고 '비둘기' 발언 → 경기 둔화에 '긴축 중단' 시사

- 시장선 환호...다우 3.3% 나스닥 4.3% 급등 → 연준의 올해 첫 금리 인상 전망이 오는 6~7월이 될 것이라고 전망

- 2016년 답습 전망 : 당시 네 차례 금리 인상 시사했으나 중국발 경기침체 우려에 금융시장 불안해지자 연말에 한 차례만 금리 인상

☞ 세계 석학들(전미경제학회) '차이나 리스트' 경계 → 중국의 경기부진·성장도 세계경제 위협요인 → 한국 등 최대 무역국 영향 불가피

- 한은의 금리 동결로 이러질 가능성 → 국내외 경기둔화 우려 커져...유가 하락에 물가 상승률도 낮아질듯

☞ 다보스 포럼, 미중 무역협상 분수령 기대 : 오늘 베이징서 차관급 협상 시작...트럼프., 다보스서 왕치산과 이견 좁힌 후 시진과 최종담판 전망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미중, 무역전쟁보다 AI 개발 경쟁이 더 위험...AI 기술 선점땐 세계 지배 우려"(동아 1면)

- "중국, 5G 장악땐 자율차·드론 조작해 도시를 무기화할수도" : 前 미국 NSC 장성 경고, 민주당 워너·공화당 루비오 의원, 백악관 '주요기술 보안실' 제안

○ 단독주택 공시가 의견청취 기일 오늘 종료 : 고가는 시세 반영·저가주택은 소폭 그쳐 균형 등 '보유세 인상' 제한적,

- 아니면 5억이상 주택 '보유세 폭탄' 맞을까 : 평균 27% 올라 작년의 3배, 5억대 33% 7억대 45% 상승...보유세 150% 인상 속출할 듯(한경 1면)

☞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산층과 서민들이 뜻하지 않은 피해를 보는 것을 최소화해야 : 건보료 인상·기초연금 수급 대상 탈락 등

- 정부는 국민 부담이 급격히 늘지 않도록 공시가격의 시세 반영률을 단계적으로 완만하게 올리고 세율 조정 병행해야

○ 한국, 가계부채 증가속도 세계 2위(BIS 작년 2분기 자료 분석) :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96%...각 가계의 빚 상환 부담은 최상위

- "지금 실물경제 무너지는 중 외환·금융위기보다 더 심각" 윤증현 전 기재부 장관(매경 1면)

○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2020년 말 은퇴 선언(전문 경영인 체제로 운영) → 글로벌 직판체제 구축에 역량 집중·3공장 국내-해외 나눠 건설

○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진 서울시 제로페이 : 자영업 전체 '제로페이 효과' 116만원...홍보 수당은 29억원이나 투입

○ IT 업계 '무법천지'(폭행·착취 등) 왜? → “당신이 회사 주인” 희생 강요…‘버티면 성공’ 세뇌하며 ‘갑질’(경향 1면)

- 개명 전 '송진' 이란 이름의 송명빈 2005년 이미 폭력·무고 전과 7범 : 청혼 거절 애인 폭행 ‘벌금형’…다른 여성에겐 거짓 고소

★ (공지) 1월 9일(수) 브리핑은 서버 점검으로 쉽니다.

★ 성장금융 뉴스 브리핑 → PE·VC 운용사, 벤처·중소기업 뉴스 등

■ 증시 및 경제 동향

○ 코스피 2000 사수 할수 있을까? → 4분기 '어닝(실적) 시즌'에 앞두고 주요 기업들 실적 부진에 변동성 확대 무게

- '투자 피난처' 채권투자 각광 → 안전자산 쏠림에 채권값 강세, 이달 우량 회사채 발행도 봇물 `중수익-중위험` 매력 부각

○ 작년 신설법인 10만개 돌파(5천만원 이하 소액창업 77%) → 60대 이상(부동산 최다)·30대 미만(IT 등) 11% ↑...태양광 창업 급증

○ 쌍용차 최종식 사장 3월 주총서 물러난다 : 취임 4년만에 내수 3위, 해고자 복직 난제 풀고 용퇴, 후임에 예병태 부사장 유력

○ 정유사 실적 '빨간불' → 국제유가 급락에 정제마진 악화(2달러대)·글로벌 경기둔화로 수요 불투명, 4분기 실적 70%이상 ↓ 예상

○ 보험가입·사망 평균 연령 10년새 7세 증가 : 보험개발원, 사망률 3.7% 감소, 암·심장질환·자살이 1·2·3위

■ 부동산·정부 정책 등 기타 동향

○ 사라지는 캡투자 → 전세가율(서울 65.3%) 3년래 최저, 올해 새아파트 대거 입주 대기, 서울 갭투자비용 2.4억 ↑

○ 임대료 대비 집값, 서울이 '세계 1위' : 74.7로…뉴욕은 물론 홍콩·베이징보다 높아, 소득대비 집값도 글로벌금융위기 직후 수준

○ 먹거리 물가, 전체 물가 상승률의 2배 : 도시락 6.6% 갈비탕 6% 올라… 외식 물가지수 3% 상승

○ 20대 고용률 작년 57.8% 금융위기 때보다도 낮다 : 에코세대 대거 20代 진입했는데 주력 제조업이 일자리 못만들어

○ "납품지연 벌금 탓 방산 고사 위기" : 방산진흥회 "법 고쳐달라" 호소 (한경 1면)

○ 3공화국 때나 벌어질 '수출 실적' 분식에 나섰다는 정부 : 수출 6,000억불 맞추려고 다음달 수출을 앞당겨 그달 실적에 포함하라고 독촉 전화

○ 삼성생명이 금감원 첫 종합감사 타깃될까 : 자살보험금이나 즉시연금 지급 등 이슈를 두고 법정 두툼을 하는 등 대립각

○ 작년 구직급여 지급액 사상 첫 6조 돌파(전년대비 28.5% ↑) : 건설업 등 실직 급증 영향, 고용보험 피보험자 3.6% ↑ 6년래 최대

★[앱]다운로드(안드로이드) : '뉴스브리핑' 편하게 받아보기

Loading...

Copyright ⓒ www.kgrowth.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