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앱 다운로드(안드로이드) : 매일 아침 핵심뉴스를 보다 편리하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❶ 한국성장금융 및 출자기관 소식
o 【선정결과】 『사회 투자 펀드(2차)』 소셜임팩트투자(매칭부문) 위탁운용사 선정 결과
o 【선정공고】 2018년 은행권 일자리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계획 공고
❷ PE, VC 운용사 소식
o 아주IB투자, 상장 후 AUM 3000억 추가…광폭 행보
o '대형펀드 조성' 지앤텍벤처투자, AUM 3000억 눈앞
o 인터베스트, 1500억 '4차산업투자조합Ⅱ' 결성 마무리
o MG인베스트먼트, 메이플투자파트너스로 사명변경 ‘새 출발’
o 도용환과 스틱이 걸어온 길…한국 자본시장 성장의 '축소판'
❸ 벤처, 중소기업 소식
o [디캠프X성장금융 EP#4] 일회용 렌즈 포장기술의 혁신
o [쫄지말고 투자하라! 시즌 7] #8회(통산 297회) 클라썸 이채린 CEO & 최유진 COO - 1부
o 공유자전거 매스아시아, 네이버·본엔젤스벤처 투자 유치
o 보안 스타트업 ‘소테리아시스템’, 디랩브이에스로부터 투자 유치
o 3년만에 70억 유치·혁신 성장… 첨단소재 강소기업 행보 눈길
❹ 정책브리핑 및 기타소식
@ '우주 패권' 경쟁의 불을 당긴 중국 달 탐사선 '창어 4호' 달 뒷면 착륙
- 미국 '아폴로'도 열지 못했던 달 뒷면 탐사라는 새로운 장을 연 것 → 달 궤도에 중계위성 뛰워 교신 한계극복
☞ 중국 '우주굴기'의 상징적인 획을 그은 것 → 다른 분야는 미국에 뒤져도 달 공략 만큼은 선두에 나섰다고 평가
- 왜 달 탐사에 열을 올릴까? → 헬륨3·희토류 등 희귀 자원 풍부, 타 행성 전진기지로 활용도 가능
■ 글로벌 금융·실물 시장을 강타한 '차이나리스크' → `글로벌경기 불황 진입` 신호일까?
- 애플, 중국시장 판매급감·실적전망 대폭 하향조정으로 엔화 등 안전자산 급등...코스피 2,000붕괴
☞ '애플 쇼크'에 시장이 발작적 반응 →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중국 경제 성장 둔화와 세계경제 성장률 저하 현실화 우려
- 기업 부채·그림자금융·부동산 거품으로 대두되는 3대 회색 코뿔소(쉽게 간과하는 위험 요인) → 중국 '부채 공포'
☞ 우리 주식시장은 마땅한 대처 방안이나 해결책이 없는 '그레이 스완'(회색 백조) 리스크가 올해 1분기에 집중되고 있다고 우려
- 애플 흔들리자 반도체 업종 '휘청' → 삼성전자 2.97%·SK하이닉스 4.79% ↓ 반도체 의존 국내증시 먹구름
- '검은 10월 연장선'으로 당분간 약세장 불가피 : 세계경기 하방압력·반도체 수요 상반기 최저 전망 → 개미들 투자심리 위축
■ 오늘의 이슈
※ '우울한 보고서' ①스마트폰 - 화웨이, 삼성 거의 따라잡아… 격차 2.9%p로 좁힐 전망 ② 반도체 - 1월에 가격 최소 10% 하락
☞ 주식시장의 큰손 국민연금마저 삼성전자 보유 비중을 줄이며(지분 8.97%) 수익률 방어 나선 이유는?
- 반도체 D램 수요 감소 등 부정적인 전망 때문 → 위탁운용기관·자산운용사들도 추가 매도 동참하면 더 떨어질수도
☞ 반도체 업황의 부진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어려워질까...일각에서는 시장을 너무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지적도 있음
○ 공시지가 2배 인상은 정부 지침의 결과 → 행정권 남용 일까? : 민간 감정평가사들 증언...국토부 "지침 내린 적 없다" (조선 1면)
○ 한해의 정책 방향을 볼 수 있다는 대통령의 경제 행보 → 스타트업 육성 N15 방문 "지금도 어렵지만 미래 걱정이 더 크다"
- 이달 중순 대기업 총수와 '타운홀 미팅' → 7일 중기-소상공인 등 靑초청...김수현, 삼성·LG·SK 임원과 작년말 만나 경제살리기 논의
☞ 현실과 동떨어진 문 대통령의 경제진단의 원인은 → 청와대 참모들이 민생 경제 실상을 제대로 보고하지 않고 있을 수도
- 김현철 경제보좌관 "4~5% 성장 못한다고 위기냐" : 전문가 "본질은 '잠재성장'도 못하는 것...엉뚱한 논리로 경제참사 호도"
- 유시민 "경제위기론, 기득권 지키려는 보수 이념동맹이 퍼뜨려" → 경제 위기가 현실화 되면 어떤 입장을 밝힐지 궁금
☞ 이벤트도 레토릭도 좋지만 이제 국민은 성과를 내놓으라는 것인데 규제 개혁 등 실천이 뒤따르지 않으면 공허한 메아리
- 우버와 에어비앤비는 한국에서 자리를 잡지 못했고 최근 카카오의 카풀 서비스도 택시업계의 강한 반발에 스톱
- 규제개혁 신호탄 될 수 있을까?...'규제 샌드박스'(17일부터 시행) 첫 해제 대상은 침으로 암 유발 유전자 검사
- "정부 오락가락 규제에 100여명 실업자 될 판" : 부도 위기 내몰린 이앤엠, 50억 대출로 증설할 땅 샀는데 환경부가 고시 해석 돌연 바꿔 조건부 허가→금지(한경 1면)
○ 삼성, 아마존과 'AI 동맹' : 年 5억대 팔리는 삼성 IT·가전에 알렉사 연동...구글, 1년새 턱밑 추격해오자 아마존이 먼저 제안(한경 1면)
○ 'M&A 귀재'로 통하는 김정주가 넥슨의 매각 타이밍이 잡은 이유 ① 중국 시장 불투명 ②정부 규제에 수익성 악화 ③진경준 수사 영향도
- 게임산업 성장세 꺾이는 상황서 재판 겪으면서 매각 결심한 듯...텐센트와 협상하다 여의치 않자 공개매각 나섰다는 이야기도
○ 연초부터 청약 열기...위례 최고경쟁률 242대1 : 분양가 논란 e편한세상 청계도 청약 몰려 치열한 경쟁률 마감
★ 성장금융 뉴스 브리핑 → PE·VC 운용사, 벤처·중소기업 뉴스 등
■ 증시 및 경제 동향
① 코스피 1,993.70(▼ 16.30) ② 코스닥 657.02(▼ 12.35) ③ 환율 1,127.50원(▲ 5.00) ④ 유가 53.89(▲ 1.41) ⑤ 금시세 46,771.28원(▲ 353.36)
- 증시 불확실성 높은데도 개인 투자자들 반등장에 베팅 : 고위험·고수익 상품인 레버리지 펀드에 최근 한달 3,282억 유입
- 월가 91% "연준 올 금리 안올릴것" 베팅 : 美국채 10년물 금리 2.62%…1년만에 최저, 금리선물 시장서 동결론 확산
○ SKT와 지상파 3사 협력해 넷플릭스와 유투브를 저지할수 있을까?...OTT(동영상서비스)플랫폼 합병·1300만 가입자 통합법인 출범
○ 삼성전자, 아우디에 차량용 반도체 공급 : `엑시노스 오토` 론칭후 처음, 41조 규모 글로벌시장 공략
○ SK이노, 미국 조지아주에 1조9천억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 비정유사업중 최대 해외투자, 폭스바겐 등 주문량 적극 대응
○ 이랜드, 계속되는 위기에 3040대표로 세대교체 : 박선경 부회장 퇴진, 패션부문 대표 40세 최운식 상무·이랜드파크 35세 김완식 본부장 등
○ 한진칼 이어 한진 2대 주주(지분 8% 취득) 된 강성부 펀드 → 3월 주총 앞두고 전면전에 대비
■ 부동산 시장 및 기타 뉴스
○ 압구정 현대아파트 2년 만에 경매 유찰 : 20억에 나온 매물 1차 유찰
○ 주택담보대출 급증에 지난해 5대 은행 가계대출 570조원 돌파 : 2017년 말 대비 42.5조 증가, 주담대 27.3조…전체 64%
○ 금감원, 4년만에 종합검사 전격 부활 "기준 미달 금융사 10여곳 종합검사하겠다" → 금융위 "신중해야" 속내 불편
○ 산업기술 유출 근절 대책 : 해외 M&A 승인제 도입, 해외유출자 처벌 강화·기업 손해액 최대 3배 배상, 신고포상금 1억원 → 20억
○ 기업 10곳 중 7곳 "올해 노사관계 불안해질것" : 경총 252개사 대상 전망조사, 경영악화·유연근로제 등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