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원 민간 발사체 시장… 경쟁 도울 500억 펀드 만든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9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위성 수요 느는데 발사체 기업 적어
각국서 막대한 예산 지원해 육성
“향후 2, 3년 시장진입 골든타임”
발사허가제→면허제로 변경 추진

‘451조 원.’

지난해 세계 민간 우주 산업의 시장 규모다. 이 중 발사 서비스 시장만 10조 원이 넘는다. 우주가 돈이 되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 접어들며 세계 각국이 민간 발사체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과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향후 2, 3년이 발사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발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발사체 기업을 키우기 위해 모태펀드를 확충하는 등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2년 우주 산업 실태 조사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발사체를 우주로 쏘아올린 횟수는 146회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이 중 상업용 위성을 수송하기 위해 발사된 건 113회로, 전체의 79%를 차지한다. 위성통신이 차세대 통신의 한 축으로 자리 잡으며 향후 이 비중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과기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위성의 수요는 늘어나는데 발사체를 만들 수 있는 기업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필연적으로 발사체 시장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국내에서는 이노스페이스가 올해 3월 민간 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발사체 발사에 성공했다. 이노스페이스의 ‘한빛-TLV’는 자체 개발한 발사체로, 소형 위성을 원하는 궤도에 올릴 수 있을 만큼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우나스텔라 등도 초기 자금을 확보해 발사체를 개발 중이다.

대다수 나라에서 전체 우주 분야 예산 규모를 늘리고 있으며, 국방보다는 민간 부문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세계 우주 분야 정부 예산은 총 1073억 달러(약 143조6210억 원)로 이 중 60%가 민간에 사용됐다. 민간 우주 시장이 초기 단계인 우주 신흥국들은 정부 차원에서 민간 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만들고 있다. 지난달 세계 최초로 달 남극에 탐사선을 착륙시켜 화제가 된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올해 4월 우주 민간 기업 활성화 내용을 담은 ‘인도 우주 정책’을 발표했다. 민간 기업의 투자를 늘리기 위해 외국인 투자 규제를 대폭 완화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한국 정부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전방위로 민간 기업을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21일 우주 분야 모태펀드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국내 우주발사체 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내놨다.

정부는 2027년까지 약 500억 원 규모의 우주 분야 모태펀드를 확대해 민간 우주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초기 시장 확대를 위해 민간 발사 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임무 중심의 발사 서비스 구매 방식을 도입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민원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과장은 “기업이 설계와 제작을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려는 것”이라고 했다.

발사를 위한 행정 절차도 한결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우선 발사 건별로 허가받던 것을 면허제도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행정 절차로 인해 발사 시점을 놓치지 않도록 컨설팅을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최지원 기자 jwchoi@donga.com
#민간 발사체#500억 펀드#발사허가제#면허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