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코리아 맞춰 벤처투자·인증도 글로벌 스탠더드로 개편

출처=게티이미지코리아
출처=게티이미지코리아

정부가 국내 벤처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위해 벤처확인 제도를 개편하고, 벤처투자 해외거점을 확충한다. 국정과제인 스타트업코리아에 발맞춰 스타트업을 벤처기업으로 육성하고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벤처투자는 해외사무소 기능 강화를 위한 연구 용역을 추진한다. 현재 미국, 중국, 싱가포르에 마련된 기존 해외사무소 기능 강화를 비롯해 신규 해외법인 설립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한국벤처투자는 오는 11월에도 영국에 유럽사무소를 개설할 계획이다.

해외사무소는 스타트업코리아 종합대책에 핵심 과제로 담긴 글로벌 펀드 결성 지원 역할을 주로 맡고 있다. 정부는 글로벌 펀드 결성 규모를 내년까지 10조원으로 확대하는게 목표다. 해외에 현지법인 또는 합작법인을 설립한 창업·벤처기업에 투자하는 전용펀드인 해외진출 전용펀드도 내년부터 속속 결성에 들어가는 만큼 현지에서 우리 창업·벤처기업을 밀착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무소 성격으로 설립한 해외 지점을 법인 형태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지점 형태의 해외진출 방식으로는 지원 범위에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 공공기관 지점 등에 입주한 창업·벤처기업의 경우 공공기관을 주소지로 하고 있다는 이유로 현지 지원 혜택을 받지 못하는 등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해외사무소에서 단순 투자 지원뿐만 아니라 창업지원, 네트워킹 등 보육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것도 법인 전환 가능성을 검토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중기부 관계자는 “실리콘밸리에 투자법인 형태로 운영하는 공공기관이 다수 있는 만큼 한국벤처투자 역시 법인 운영 시 장단점과 기대효과를 분석해 법인 전환여부를 따져볼 계획”이라면서 “해외 네트워크 형성과 현지 창업 보육 기능 확대 관점에서 법인 설립 효과를 분석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9일 열린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대책 사전브리핑에서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9일 열린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대책 사전브리핑에서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벤처인증제도도 글로벌 지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편한다. 벤처기업협회도 연구용역을 통해 벤처기업확인제도 글로벌화 전략수립에 들어갔다.

벤처인증제도는 이미 과거에도 벤처기업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글로벌 역량을 갖춘 기업 탄생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실제 벤처기업협회가 매년 실시하는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벤처기업 가운데 해외수출 기업 비중은 20.9%에 그친다. 지사나 지점을 통해 해외에 진출한 기업은 수출벤처기업 20.9% 가운데서도 극히 일부인 20.6% 수준에 그친다.

중기부와 벤처협회는 이러한 내수 지향 벤처기업과 수출 벤처기업 간 성장 및 기업 특성을 구분한 인증 방식과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글로벌화 잠재력을 가진 혁신 벤처기업을 발굴하는 것은 물론 벤처확인 이후에도 실질적인 글로벌 지원체계를 도출하는 것이 핵심 과제다.

벤처기업협회 관계자는 “이미 벤처기업군은 내수에서 삼성전자 다음 갈 만큼 높은 성과를 내고 있지만 아직 글로벌 성과는 다소 미흡하다”면서 “벤처기업의 글로벌화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