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헌수 칼럼

[김헌수 칼럼] PEF, 기업 구조재편 시장에 순기능만 있을까

입력 2023-05-15 20:05
지면 아이콘 지면 2023-05-16 18면

김헌수-전략인재연구원대표.jpg
김헌수 전략인재연구원장·교수
지난달 모 일간지에 게재된 '부진은 잊어라… PEF 올 16조 투자 시동과 사모펀드 연합군 지방銀 인수 추진'이란 기사가 유별나게 눈에 띈다. 국내 사모펀드(PEF, Private Equity Fund)는 '자본시장법'에 의거해 소수의 사람들로부터 비공개로 투자금을 모아 채권이나 주식 등에 투자하는 펀드로 국내외 인플레로 급격한 금리인상, 스테그플레이션 등 시장 전체가 침체·위축되면서 기대와는 달리 투자와 투자금 회수에 지나칠 정도로 보수적으로 운용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이유는 미(美) 연준(Fed)의 금리 인상, 각국의 각자도생과 우리의 기조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쉽사리 투자에 나서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한 자산운용사의 애널리스트는 시장이 본격 둔화한 2022년의 상황이 반영되는 올해의 실적은 더욱 어렵고 저조할 것이라고 보는 한편, PEF별로 수조 원대 신규로 조달된 펀드를 지난해와는 달리 더욱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거나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국내 몇 대형 PEF사는 최근 몇 년간 안전한 투자처를 못 찾아 유동성이 넘치면서 대신 큰 호황을 누렸지만,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고자 큰 규모의 금리 인상이 자금경색과 불안전성으로 또 경기침체와 물가 상승으로 급반전하면서 당분간 PEF의 투자를 우려스럽게 전망하는 이도 있다. 한편 국내 PEF 운용사는 그동안 주로 내국인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앞으로는 해외 기관으로부터도 자금을 모아 포트폴리오의 역량을 더 높여야만 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투자은행 업계에선 IMM PE가
'마이너스 손' 전락했다는 소식과
기업사냥꾼도 당했다는 것을 보면
시황 잘 직시하고 위험 고려해야
과거 론스타 분쟁 남의 얘기 아냐


최근 PEF는 기관전용펀드 약정액 규모가 5년 만에 두 배가 넘게 불어나 125조원을 넘었다는 소식도 있다. PEF가 기대 이상의 수익을 내면서 돈이 크게 몰리고, PEF는 더 큰 딜을 함께하면서 기업에겐 구조재편의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이어 PEF 운용사들이 연합군을 형성해 지방금융지주사에 지분을 넓혀 공동으로 인수하려는 방안도 뚜렷해지고 있다. 이렇게 된다면 보수적인 투자와 함께 영역의 확장은 물론 장차 국내 외국계 은행의 인수 타진이나 기존 5대 금융지주사에도 과점주주로서 금융 판세를 흔들어 대는 '메기'의 효과도 우려스러우면서 한편에서는 발전적 동기라 보는 이도 있다.

이 시장에서는 미국계 PEF 론스타가 2003년 8월 외환은행을 1조3천834억원에 사들인 후 2012년 하나은행에 되팔면서 4조7천억원 규모의 시세차익으로 '먹튀'한 악몽의 사례를 들 수 있다. 당시 외환은행을 금산분리에 저촉되는 산업자본으로 헐값에 인수하고 매각하면서, 석연치 않은 차익을 남기고 사회적 책임 경영 부분을 소홀히 한 사모펀드 투자에 대한 트라우마가 투자자들의 머릿속에 각인돼 부정적 이미지를 쉽게 지울 수 없다. 또 PEF들의 지방은행 인수에 대해 앞선 사례처럼 금산분리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금산분리 원칙에 의거 국내 PEF들은 금융당국의 개별 금융사에 대한 규제 준수와 함께 PEF 운용사 자체에 대해서도 금융감독원의 정밀한 감독을 받고 있다는 현 실정에서 동일인 지분 '10% 룰'이 관건이다.



PEF는 실망스러움이 있었음에도 기업의 구조재편에 기여한 바는 크다. PEF가 기업 고유의 발전적 재무구조에 실질적 개선 보다는 지나칠 정도의 단기 차익만을 위하거나 재무구조의 기준지표가 미달함에도 배당에만 선 고려를 최우선시한다면 이 업이 오히려 역기능적일 수도 있다. 재무구조 개선에 미달하면 주주배당을 아예 금지하는 제도보완도 필요하다. 그래야만 PEF가 자본시장에 순기능을 위한 건전한 육성과 발전에도 다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PEF의 투자는 기업 재무구조 개선에 순기능만이 있을 것이라 오판하면 안 된다. 최근 투자은행 업계에서는 IMM PE(프라이빗에쿼티)가 '미다스 손'에서 '마이너스 손'으로 전락했다는 소식과 기업사냥꾼 칼 아이칸도 사냥을 당했다는 미국발 소식를 보면, 시황을 잘 직시하고 위험도 충분히 고려해야 된다. 대형 PEF는 기준금리 인상 등 시장의 분위기가 급반직하하면서 마땅한 투자처가 불확실해지는 상황이다. PEF 시장에 과거 론스타의 국제투자분쟁(ISDS) 사례는 남의 얘기가 아니다.

/김헌수 전략인재연구원장·교수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