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진정호 기자 =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해외사무소를 추가로 설치하기 위해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가 내부 검토 작업에 들어갔다. 유력한 후보지는 현재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인도 뭄바이가 논의되고 있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복지부는 기금본부의 해외 사무소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국민연금 안팎의 전문가들에게 의견을 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내부 검토 작업은 국민연금 기금운용을 총괄하는 복지부 국민연금재정과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후보지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인도 뭄바이다. 두 지역 중 한 곳에만 사무소를 두기보다는 두 곳 모두 사무소를 두는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다.

국민연금이 샌프란시스코를 염두에 두는 것은 벤처캐피탈 부문에 투자를 늘려 '알파'를 창출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현재 국민연금의 벤처 부문 투자액은 사모펀드와 비교하면 미미하다. 지난 4월 공고된 국내 사모투자 위탁운용사 선정 계획상으로도 사모펀드(PEF) 출자액은 8천억원인 반면 벤처펀드는 1천500억원에 불과하다. 벤처 출자액은 사모펀드의 5분의 1도 안 되는 수준이다.

샌프란시스코는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과 벤처캐피털의 메카인 실리콘밸리가 있는 곳인 만큼 사무소를 열면 국민연금과 현지 운용사 간 관계가 더 긴밀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 뭄바이 또한 글로벌 투자시장에서 떠오르는 곳 중 하나다. 미국과의 갈등으로 중국으로 가기 어려워진 투자금이 인도로 선회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 대체투자 부문에서 인도는 여전히 기회의 땅으로 여겨진다.

세계 최대 사모펀드인 블랙스톤의 조나단 그레이 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지난 2월 외신에 "인도는 블랙스톤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내는 지역 중 한 곳이고 아시아 전략의 핵심지"라며 "일본과 호주는 그 뒤를 따르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는 "블랙스톤은 인도에서 사모주식과 부동산을 포함해 500억달러를 운용하고 있고 앞으로는 인도 인프라에도 투자를 고려할 것"이라며 "경쟁업체인 KKR이나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 등 주요 글로벌 연기금은 이미 인도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복지부가 국민연금 해외 사무소를 확대하려는 것은 기금운용 수익률을 개선하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주문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국민연금기금이 역대 최악인 -8.2%의 수익률을 기록한 뒤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주문한 바 있다. 이후 국민연금은 해외투자와 대체투자 확대를 강조하고 나섰는데 해외 사무소는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대안이다.

다만 국민연금이 해외 사무소를 늘리려면 예산권을 쥔 기획재정부를 설득해야 한다는 것이 난점이다.

지난 3월 국민연금이 국회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해외 사무소 관련 예산은 올해 84억1천500만원으로 지난해의 119억1천600만원과 비교해 약 30%나 삭감됐다. 이는 2019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5년간 해외 사무소에 배정된 예산 중 가장 작고 지난해 실제 집행된 예산 97억원에도 못 미치는 액수다.

기재부는 국채 발행 부담을 줄이기 위해 쓰지 않은 예산을 삭감하는 게 기본 방침이라며 국민연금 해외 사무소 예산은 인력 현황과 재작년 예산 집행률을 고려했다는 입장이다. 올해 국민연금 예산은 작년 6월경 편성됐다.

기재부가 예산을 대폭 삭감하면서 국민연금의 해외 인력 강화 로드맵에도 차질이 생긴 상태다. 이런 가운데 해외 사무소를 늘리려면 예산이 더해져야 하지만 경기 악화로 정부 재정에 더욱 민감해진 기재부를 복지부가 설득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연금 전주 사옥


jhji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4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