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년만에 2650억 대박…‘이해진 키즈’들, 창업 신주류로 떴다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숫자 9 사진 중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블록오디세이 연창학 대표(94년생), 닥터나우 장지호 대표(97년생), 정육각 김재연 대표(91년생), 클라썸 최유진 대표(92년생), 비욘드뮤직 이장원 대표(93년생). 숫자 0 사진 중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클라썸 이채린 대표(96년생), 플로틱 이찬 대표(97년생), 서울로보틱스 이한빈 대표(91년생), 두들린 이태규 대표(95년생), 크리에이트립 임혜민 대표(90년생). 사진=장진영·김경록 기자 및 각 사.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숫자 9 사진 중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블록오디세이 연창학 대표(94년생), 닥터나우 장지호 대표(97년생), 정육각 김재연 대표(91년생), 클라썸 최유진 대표(92년생), 비욘드뮤직 이장원 대표(93년생). 숫자 0 사진 중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클라썸 이채린 대표(96년생), 플로틱 이찬 대표(97년생), 서울로보틱스 이한빈 대표(91년생), 두들린 이태규 대표(95년생), 크리에이트립 임혜민 대표(90년생). 사진=장진영·김경록 기자 및 각 사.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음원 저작권(IP) 스타트업 비욘드뮤직은 창업 1년 만에 누적 265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우량한 음원 IP를 매입해 방송ㆍ영화ㆍ게임 등에 제공하는 자산운용사 모델로 국내외 벤처투자자로부터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이 회사 공동창업자인 이장원(29) 대표는 경력 9년 차의 연쇄 창업자. 이번이 세 번째 창업이다. 이 대표는 “기존 조직에 들어가 주어진 역할을 하는 것보다 ‘제로 투 원(0에서 1을 만드는 과정)’을 즐기는 나에겐 창업이 더 잘 맞는다”고 말했다.

90년대생 창업자가 급부상하고 있다. 현재 23~32세인 이들은 이해진(네이버)ㆍ김범수(카카오) 등 60년대생 벤처 1세대의 자녀뻘이자, 모바일 1세대인 배달의민족ㆍ쿠팡ㆍ토스ㆍ마켓컬리에 이어 ‘넥스트 유니콘’을 꿈꾸는 청년들이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기술창업은 2016년 연간 19만674개에서 지난해 23만9620개로 26%가량 증가했다. 이 중 30세 미만 법인 창업은 더 가파르게 늘었다. 같은 기간 2151개에서 3462개로 61% 증가했다.

이들 중엔 두어 번의 연쇄 창업 끝에 엑시트(exitㆍ투자금 회수)한 사례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카카오가 5000억원에 인수한 북미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는 연쇄 창업자인 이승윤(32)씨가 26세에 창업해 5년 만에 매각한 경우다.

30세 미만 기술창업 법인 변화.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30세 미만 기술창업 법인 변화.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90년대생 창업자는 누구인가.
90년대는 국내 정보기술(IT) 산업이 태동한 시기다. 이들은 청소년 시절 스마트폰 혁명을 경험하고 국내외 혁신기술 기업들이 주도하는 성장을 목격했다. 사교육 경험이 많고, 영어나 IT를 문제 해결 도구로 활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스티브 잡스나 일론 머스크, 이해진ㆍ김범수 같은 IT 창업자들의 성공 스토리를 보고 자랐다. 기술과 아이디어만 있으면 벤처캐피털의 투자를 유치해 빠르게 사업을 키울 수 있다고 믿는다. 명문대 졸업장이나 대기업 입사보다 창업을 통해 성장하고 성공하고 싶어한다.

교육용 소통 플랫폼 클라썸의 이채린(26) 대표는 지난 2018년 KAIST를 중퇴하고 서비스를 출시했다. 공동창업자(최유진 각자대표)는 대학에서 만난 선배. 이들은 수업이 끝난 뒤에도 학생들이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구상하다 창업을 결심했다.

이채린 대표는 “사업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걸 보면서 대학 수업보다 사업에 집중하는 게 낫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클라썸은 현재 KAIST와 서울대, 삼성, SK하이닉스를 비롯해 전 세계 25개국 5000여개 대학ㆍ기업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이 세대는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고도 경제적 자유에 이르는 길을 찾는 데 열심이다. 물류창고용 로봇 개발사 플로틱의 이찬(25) 대표는 “변화를 위해서라면 규제나 리스크에 도전하는 게 두렵지 않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창업 1년 만에 네이버ㆍ카카오로부터 모두 투자받으며 주목받고 있다.

양승찬(26) 대표가 스물한 살에 군대 동기들과 창업한 스타스테크는 해양 폐기물인 불가사리를 활용해 세계 최초로 친환경 제설제를 만들어냈다. 이미 국내 친환경 제설제 시장 1위(점유율 25%)에 올랐고, 지난해 매출도 100억원을 기록했다. 이젠 3조원 규모의 글로벌 시장을 노리고 있다. 양 대표는 “경제적 자유와 역량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데 창업만큼 빠른 길은 없다”고 말했다.

과학·공학 콘텐트 스타트업 긱블의 박찬후 대표와 직원들이 지난달 22일 서울 성동구 긱블 작업 공간인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포즈를 취했다. 김성룡 기자

과학·공학 콘텐트 스타트업 긱블의 박찬후 대표와 직원들이 지난달 22일 서울 성동구 긱블 작업 공간인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포즈를 취했다. 김성룡 기자

벤처업계는 현재 두각을 나타내는 90년대생 창업자들이 앞으로 5~10년 내 주류로 떠오를 것으로 본다. 실제 현재 데카콘(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 수준 IT 기업들이 나오는 데 10년이 걸렸다. 2010년 전후 모바일 시장이 열리면서 현재의 쿠팡(김범석, 78년생), 배달의민족(김봉진, 76년생), 야놀자(이수진, 78년생) 등이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이후 토스 이승건(82년생), 마켓컬리 김슬아(83년생) 등 80년대생 창업자들이 뒤를 이었다.

마이크 김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아태 지역 총괄은 “90년대생 창업자들은 어려서부터 글로벌 제품을 쓰고 K팝과 K콘텐트 영향으로 한국의 세계적 위상이 높아졌을 때 창업해, 이전 세대보다 훨씬 글로벌하게 성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렌드와 기술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로 성공 가능성이 커졌단 얘기다.

쿠팡ㆍ배달의민족ㆍ토스 등에 투자한 벤처캐피털 알토스벤처스의 윤태중 파트너는 “90년대생 창업자들은 이전 세대보다 정보 습득 역량이 뛰어나고 문제 접근 방식도 창의적”이라며 “특히 이들은 창업을 통해 지구 온난화 같은 문제 해결에 공헌하면서 돈도 빠르게 벌 수 있다는 열망이 강하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중앙일보 팩플팀이 쓴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시리즈 1회의 요약본입니다. 비즈니스의 미래를 이끌 창업자들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시려면 풀버전 기사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68317 )를 보세요.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by FACTPL

팩플팀이 미래 산업(Future of Business)의 주인공이 될 90년대생 창업자, 이들이 뛰어든 비즈니스와 기술에 대한 심층 리포트를 선보입니다.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시리즈는 3일 1~3회가, 4일부터 4~6회가 하루 한 편씩 공개됩니다.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① 넥스트 이해진·김범석·김슬아 여기서…90년대생 창업자가 온다
② 글로벌 주류 노리는 90년대생, ‘쳅(CHEBB)’에 걸었다
③ 통계로 본 90년대생 창업…여성 늘고, SKY 줄고, 무대는 글로벌
④ 너의 성장은 곧 나의 성장…“격자무늬처럼 일하라”
⑤ 00년대생 창업자 ‘호모 메르카투스’도 온다
⑥ 글로벌도 이미 90년대생이 주도…“韓 90년대생, 훨씬 글로벌하게 성공할 것”

더중앙 팩플 홈에서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factpl

더중앙 팩플 홈에서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factpl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