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증권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中·러·인플레이션 리스크에도…두려워 말고 투자하라"

강두순,박창영 기자
입력 : 
2022-03-27 18:51:53
수정 : 
2022-03-28 07:50:01

글자크기 설정

투자 지침 담은 연례서한 주요 기관투자자에 발송
국민연금·CPPIB·GIC 등 세계 100여 투자자 받아 동북아 투자 방향 가늠

"중국 리스크 과대 평가 역병에도 용기 필요하다"
韓코리아센터 인수 비롯 한중일 13건에 40억달러…공격적 신규 투자 집행해

활발한 투자금 회수 병행…총53억달러 LP에 돌려줘
5개 펀드 연수익 25%로 경쟁 그룹 압도하는 성적

中헝다그룹 사태에 앞서 크레디트 2건 회수 완료…선제적 리스크 관리 빛나

美다이알과 협력 관계로 글로벌 공략 한층 강화해
러시아 우크라 침공 비롯 투자자 앞에 난관 많지만 "격변이 기회 가져온다"
사진설명
'중국 리스크'에 대한 전세계 투자자의 우려가 커지던 2021년 MBK파트너스는 현지 점유율 1위 렌터카 회사 선저우주처에 대한 11억6120만달러(1조4213억원) 규모 바이아웃(경영권 인수)을 완수했다. 7억9500만달러를 들여 중국 하이창오션파크(해창해양공원)를 인수하고, 파인 타워 담보 대출에 1억6780만달러를 투자했다. 최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59)은 전 세계 기관 투자자에게 보내는 연례 서한에서 "우리는 '중국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너무 크다고 확신했다"며 "전쟁과 역병의 시기에도 낙관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믿음과 용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동북아 최대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김 회장이 이번 서한을 통해 강조한 메시지는 '두려워하지 말고 투자하라'로 요약된다. 20년 넘게 아시아 최고 인수합병(M&A) 전문가로 이름을 날려온 김 회장의 연례 서한은 국민연금,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 싱가포르투자청(GIC) 등 국내외 주요 100여 기관투자가가 수신한다. 전 세계 기관투자자가 그해 동북아 투자 방향을 결정하며 길잡이로 참고하기에 투자은행(IB)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지금이 투자할 때'라는 그의 믿음에 따라 MBK파트너스는 지난해 활발한 투자 활동을 펼쳤다. 한중일 3개국에서 기관투자자(LP)와의 공동투자를 포함해 총 13건의 투자에 40억 달러(4조8960억원)를 집행했다. 중국에서 렌터카 회사와 테마파크를 인수한 것 외에도, 일본에서 실버 서비스 기업 츠쿠이를 사들였으며, 한국에서는 동진·경진섬유와 코리아센터를 바이아웃했다. 인터넷 은행인 케이뱅크에도 1억4700만달러를 투자했다.

코로나19 영향이 장기화하는 와중에도 움츠리지 않은 이유는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이 지닌 양면적 속성 때문이다. 김 회장은 "코로나19는 파괴적이기도 하고 창의적이기도 하다"며 "팬데믹을 통해 우리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갖는 것의 중요성을 새롭게 배웠다"고 적었다. 이어 "코로나로 인해 기술이 소비 패턴과 기업의 판매 방법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며 "MBK파트너스는 '모든 사업은 기술 사업'이라는 만트라(진언)를 실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우리는 포트폴리오 기업들이 사업 계획을 짜고, 온라인 매출을 증대시키고, 운영을 효율화하는 데까지 정보기술(IT)을 접목하고 있다"며 "우리는 케이뱅크와 코리아센터 등 기술지향 기업에 대한 투자도 완료했다"고 기술했다.

씨를 넓게 뿌린 것만큼이나 수확도 열심히 한 한 해였다. MBK파트너스는 2021년 1년 간 총 53억달러(6조4872억원)를 출자자에게 돌려줬다. 중국 에이펙스로지스틱스, 한국 두산공작기계, 일본 아코디아넥스트골프의 투자금 회수에 성공했다. 이에 MBK파트너스가 운용 중인 5개 펀드의 가치도 함께 오르고 있다. 2호 펀드 가치는 3배, 3호와 4호 펀드는 2.2배, 스페셜시츄에이션(SS) 펀드 1호는 2배로 증가했다. 5개 펀드의 연환산 내부수익률(IRR)은 24.6%에 달한다. DPI(Distribution to Paid-in Capital·총 펀드 납입액 대비 분배액 비율)는 1.1배로 전세계 상위 25%의 PEF 운용사 DPI(0.4배)를 압도한다.

물론 이러한 성과는 적극적 리스크 관리가 수반됐기에 가능했다. 김 회장은 "중국 헝다그룹의 채무불이행 사태는 코로나 팬데믹의 파괴적인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며 "MBK 파트너스는 헝다그룹 사태 이전에 중국 크레디트 투자 2건에서 회수를 단행하면서 IRR 20% 이상의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다.

MBK파트너스는 세계 투자 시장 공략을 한층 강화할 발판도 마련했다. 최근 미국 다이얼 캐피탈 파트너스에 지분 12.5%를 양도하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이다. 김 회장은 "다이얼은 운용사(GP)들과 협업하는 데 있어서 세계를 선도하는 기업"이라며 "다이얼캐피털이 갖춘 경험과 글로벌 출자자들과의 네트워크, 운영 및 ESG(환경·책임·투명경영)에서의 역량이 MBK 파트너스에 전수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향후에도 세계 투자자 앞에 많은 난관이 있을 것으로 봤다. 코로나 후의 불확실성, 인플레이션,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와 미중 간의 기술 및 무역 갈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이다. 하지만 김 회장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쭉 그래왔던 것과 같이, 시장은 '안내자의 역할을 할 것이다"며 "검은 호랑이의 해인 2022년, MBK파트너스는 아시아 시장에서 담대하고 용기있게 우리의 길을 찾아나갈 것"이라고 썼다. 그는 "'격변이 기회를 가져온다'는 수 년 간 우리가 경험했던 바를 공유한다"며 "MBK파트너스의 파이프라인은 십여년 전 시장의 마지막 격변기때보다 더욱 견고해졌다"고 자신했다.

[강두순 기자 / 박창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