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외칼럼

[기고] 尹 정부 5년, 유니콘 100개 키우자

입력 : 
2022-03-22 00:04:01
수정 : 
2022-03-22 08:37:28

글자크기 설정

사진설명
오는 5월 10일 출범할 윤석열정부의 경제 과제를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디지털 대전환과 혁신기업 육성'일 것이다.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전통 제조업에서 반도체, 배터리, AI(인공지능), 로봇, 바이오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으로 주력산업을 대전환하고 분야별로 글로벌에서 통할 수 있는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들을 얼마나 많이 키워내느냐에 한국 경제의 미래가 달려 있다. 이 같은 산업 대전환과 유니콘 육성의 핵심에 벤처투자가 있다. 지난해 국내 신규 벤처투자는 7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8.4%, 벤처펀드 결성액은 9조2000억원으로 34% 증가했다. 신규 벤처투자가 급증함으로써 국내 벤처기업과 스타트업에 풍성한 자금을 공급하고 이들 기업들은 혁신에 앞장서는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다.

국내 유니콘 기업은 18개로 세계 10위 수준인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유니콘 기업을 50개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새 정부의 벤처투자정책에 따라 유니콘 100개도 충분히 가능하다.

가장 시급한 것은 벤처펀드의 대형화다. 유니콘, 데카콘(기업가치 100억달러 이상) 탄생에는 막대한 자본이 소요된다. 국내에는 이를 감당할 수 있는 대형 펀드가 없어 대부분의 기업이 유니콘 단계만 돼도 주로 해외자본에 의존한다. 정부 출자 확대만으로는 대형 펀드 육성에 한계가 분명한 만큼 파격적인 세제 지원을 통해 민간 자금이 대규모로 벤처펀드에 흘러가도록 해야 한다. '벤처펀드 출자지분 매각 시 양도차익 비과세 출자자'의 범위에 일반법인을 추가하거나, 일반법인이 벤처펀드에 출자하는 경우 법인세 공제 폭을 현재의 5%보다 크게 늘리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민간모태펀드 결성도 서둘러야 한다. 현재 통신사업자연합회의 코리아 IT 펀드처럼 타 벤처펀드에 출자를 목적으로 하는 펀드가 일부 있지만, 주도 출자자가 아니고 출자자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정도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주도 출자자 역할을 하는 민간모태펀드가 본격적으로 결성돼야 할 때다.

민간 출자자의 모태펀드 결성 촉진을 위해서는 일반 벤처펀드에 준하는 세제지원이나 명시적인 법적 근거가 뒷받침돼야 한다. 자율성, 성과 중심의 민간모태펀드가 결성되면 정책성 중심의 공공 모태펀드는 창업 초기 투자 등 본연의 역할에 집중하고 공공모태펀드 투자가 적은 분야에서는 민간 모태펀드가 자금줄 역할을 할 수 있다. 국내 벤처의 해외진출과 벤처투자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국내외 공동펀드, 해외펀드나 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세컨더리펀드, 기업인수·합병(M&A)펀드 등이 민간 모태펀드의 주요 영역이 될 것이다.

벤처투자 규모가 커짐에 따라 벤처펀드 존속기간의 장기화 역시 절실해지고 있다. 스타트업이 무사히 성장해서 기업공개(IPO)나 M&A를 하는 데 평균 11년이 걸린다. 최소 7~10년 이상 마중물을 부어줘야 하는 창업 초기나 신약 개발에 15~20년 이상 소요되는 바이오업종 투자 등 자금 회수 기간이 긴 투자의 경우 현재의 펀드 존속기간 7~8년으로는 과감한 투자가 어렵다. 세계적인 벤처캐피털 회사인 세쿼이아캐피털은 지난해 '만료기간 없는 펀드'를 출범시켰다.

윤 당선인이 천명한 민간주도 경제활성화, 산업 대전환, 유니콘 육성의 최선봉에 벤처투자가 있다. 민간이 앞장서고 정부가 적절한 정책지원을 통해 물줄기를 열어준다면 유니콘 100개 달성은 결코 불가능한 목표가 아니다.

[지성배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회장]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