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현장돋보기] 투자만큼 성과 못내는 K바이오…문제는 `데이터`야

입력 : 
2019-06-27 04:07:01

글자크기 설정

사진설명
'K팝' 'K드라마'에 이어 'K바이오(Bio)'라는 표현이 최근 눈에 띈다. 지난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전년 대비 4배 급증한 5조원대 기술 수출 성과를 거뒀다. 정부와 민간의 지속적인 투자와 정책 활성화 등이 맞물려 시너지를 낸 결과다. 실제 국내 바이오 기업에 대한 민간 벤처 투자 금액은 2018년 기준 약 85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0년 전 대비 15배, 2018년 전체 벤처 투자 금액 중 25%에 달하는 수치다. 국가적인 관심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 산업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으며 성과를 내고 있으나 글로벌 경쟁력은 역설적으로 후퇴하고 있다. 미국 과학 전문 매체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월드뷰'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바이오산업 경쟁력은 56개국 중 26위로 2009년(15위) 이후 해마다 하락했다. 반면 후발 주자인 중국(27위)과 말레이시아(30위)는 빠르게 격차를 좁히고 있다. 활발한 투자와 지원에도 한국은 글로벌 바이오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취해야 하는 전략은 무엇일까? 가장 쉬운 방법은 글로벌 제약사 수준으로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는 것이겠지만, 현실적으로 단기간에는 불가능하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다. 고도화된 의료 인프라스트럭처, 우수한 의료·임상 관련 인력, 대도시 밀집 인구 등을 바탕으로 지난해 서울은 전 세계에서 임상시험을 가장 많이 수행한 도시로 꼽혔다. 이렇게 훌륭한 임상 인프라 위에 한국의 뛰어난 정보기술(IT) 활용 능력을 결합해보는 것은 어떨까.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약 허가 신청이 통과되지 못하는 원인 중 50%는 임상시험의 데이터 품질 문제라고 한다. 데이터 품질 저하에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임상데이터 관리다. 수많은 임상 참여자를 대상으로 수년간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하다 보면 사람 실수로 인한 의도치 않은 데이터 오류(human error)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결국 데이터 품질 저하로 이어져 국내 제약사가 목표로 하는 글로벌 신약 승인이나 신약 라이선스 수출 계약의 문턱에서 발목을 잡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런 데이터 품질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데이터 관련 기술을 이용한다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임상 비용을 낮추고, 임상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시키는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국내 선도 제약사나 바이오 벤처들이 이 같은 데이터 품질 관리 솔루션을 도입하고 관리 체계 구축을 시도하고 있는데, 국내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고무적인 움직임이라 할 만하다.

IT와 신약 개발을 결합했을 때 또 다른 기대효과를 보자. 현재 글로벌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각광받는 분야는 희귀 의약품과 항암제다. 일반적으로 임상시험은 신약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환자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해 진행한다. 그런데 희귀 질환은 환자 수가 적기 때문에 환자 모집에 어려움이 있으며, 암은 소아암이나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을 때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간과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최근에는 AI, 빅데이터 등 데이터 관련 기술을 활용해 희귀 의약품과 항암제 개발에도 효율적인 대조군 실험이 가능해졌고, 비용 역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 오늘날 제약·바이오 업계 화두는 신약 개발 데이터의 품질 향상과 효율화를 꾀하는 AI, 빅데이터 등 기술 활용이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글로벌 제약사 수준의 천문학적 투자를 하는 것은 단기간에 쉽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이 강점을 가진 IT를 적극 활용한 스마트한 임상시험으로 'K바이오'가 글로벌 신약 경쟁에서 큰 성과를 거두길 기대해본다.

[임우성 메디데이터코리아 대표]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